TOP

KUME 소개

연혁

기계공학과는 1964년 12월, 당시 이공대학 공학부에 창설되었다. 초기의 학과 교육목표는 성실하고 유능한 기술자 양성과 실제적인 공학기술의 창조적 개발이였다. 이 목표 아래 사제 간 및 학우 사이의 남달리 돈독한 학과 분위기가 형성되었다. 1977년 12월에는 이공대학이 이과대학과 공과대학으로 분리 개편되었으며, 1979년부터 1983년까지 송삼홍, 최영돈, 장효환, 김호영, 박진무 5인의 교수가 차례로 부임하여, 파괴역학, 열전달, 자동제어, 연소공학, 기계역학 연구실을 연차적으로 개설하고, 대학원 교육의 내실을 도모하여 계속적 학문 탐구와 기반요소기술의 전문화에 필요한 기본기술의 배양을 기존 교육목표에 추가하였다.

기계공학 분야 인력 증대의 필요성에 대한 정부시책에 부응하여 학과정원이 1992년도에 130명으로 증원하였으며, 기계설계연구실과 컴퓨터 실습실을 개설하였다. 또한 통상산업부 지원 차세대 기계 설계기술 인력 양성 프로그램을 유치하여 차세대 고급 설계 인력양성을 위한 기틀을 마련하였다.

기계공학과는 2003년 9월 창의관으로 이전하였으며, 같은 해 기계공학과 학생모집은 기계/산업시스템 소계열로 변경되었다. 2004년 기계공학 학문분야 평가에서 학부, 대학원 모두 전국 1위를 차지하였으며, 2012년 QS Mechanical Engineering 부문 세계 100위권으로 진입하였으며 2018년 50위권으로 진입하였다.
현재 29명의 교수진, 700여명의 학부생, 300며명의 대학원생이 재학중이며, 지난 60여년간 6000여명의 졸업생을 배출하여 기계산업를 포함하는 다양한 분야에서 활약하고 있습니다.

2024년
3
  • 4단계 BK21사업 선정
2020년
9
  • 플러스에너지빌딩 혁신기술 연구센터(ERC) 개소
2019년
2
  • 정진택 교수 제20대 고려대학교 총장 취임
2
  • BK21Plus 성과평가 기계공학분야 전국 1위
2018년
2
  • QS세계대학평가 기계공학분야 세계 47위
2016년
12
  • 나노-생체유체검사 선도연구센터(ERC) 개소
11
  • 신공학관 준공
2015년
10
  • 기계공학부 창립 ‘50주년 기념식’ 개최
10
  • KU-KIST 융합대학원 신설
8
  • 제1회 고려대학교 기계공학부 여우회 교우회 “기품” 행사
2014년
3
  • 현대자동차그룹 석사과정 계약학과 설치
2013년
3
  • BK21Plus 기계분야 사업단 선정
2012년
10
  • 이규정 교수 순직 및 영결식
3
  • QS(Quacquarelli Symonds) Mechanical Engineering 부문 세계 94위 랭크
2008년
3
  • 신입생을 기계공학부로 모집
2007년
3
  • ERC (인간중심제품혁신센터) 개소
3
  • 기계공학부로 확대 개편
2006년
12
  • 기계공학과 뉴스레터지 창간
5
  • PACE센터 선정 및 개소식
4
  • 2단계 BK21 기계사업단 선정
2005년
10
  • 기계공학과 40주년 기념행사
2
  • 2004년 학부/대학원 기계공학 학문분야 평가 전국 1위
2003년
9
  • 창의관으로 학과사무실 이전
3
  • 기계/산업시스템 소계열 학생모집
2002년
3
  • 공학부(1+3)제 학생모집
2001년
11
  • 제1회 기계공학과 한마당 축제 개최
1999년
3
  • 공학부(1.5+2.5)제 학생모집
1997년
3
  • 통상산업부 지원 차세대 기계설계기술연구소 인력양성 프로그램 개설
1996년
3
  • 차세대 기계설계기술연구소 설립
1995년
10
  • 기계공학과 30주년 기념행사
1994년
3
  • 대학평가인정위원회에서 우수학교 인정
1993년
3
  • 기계공학과의 학과정원을 150명으로 증원
1992년
3
  • 기계공학과의 학과정원을 130명으로 증원
1990년
11
  • 대학원에 KIST와 학연과정 설치
1985년
3
  • 기계공학과 축구부 “기우회” 시작
1983년
3
  • 신입생을 기계공학과로 모집
1982년
3
  • 신입생을 기계화공 계열로 모집
1981년
3
  • 신입생을 기계산공 계열로 모집
1978년
3
  • 기계공학과 교우회 창립총회 개최
1977년
12
  • 이공대학을 이과대학과 공과대학으로 분리 개편
1975년
3
  • 기계공학과의 학과정원을 80명으로 증원
1973년
3
  • 신입생을 학과구분 없이 공과대학 전체로 모집
1972년
3
  • 기계공학관 증축 및 기계제도실 완비
1969년
6
  • 수력공학관 준공, 유체역학 및 유체기계 실험실 개설
2
  • 기계공학과 대학원 과정 개설
1967년
3
  • 기계공학관 준공, 내연기관실험실 및 기계공작실 개설
1965년
2
  • 유병철 교수 초대 학과장으로 취임
1964년
12
  • 이공대학 공학부에 기계공학과 신설 (정원 50명)